글로벌펫로스를 통해 펫로스증후군을 극복하기 위한 이메일 상담을
진행하다 보면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반려동물이 떠나고 난 후에 겪게
되는 펫로스로고통 받고 있음을 보게 된다
.
상담을 진행하며 강아지, 고양이 등 반려동물을 키우면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누구나 겪게 되는펫로스증후군을 극복하는 것을 도와
주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지만 사전에 미리 예방할 수는 없을까를
고민해 보았다.
-가족의 사랑이 우선 : 펫로스증후군으로 심하게 고통받고있는
사람들 중에는 가족간의 사랑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누군가로 부터 사랑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느끼지못할 때 부족한
부분을 반려동물에게서 채우려는 보상 심리가 작용하고 이 때문에
반려동물이 무지개다리를 건넌 후 펫로스증후군으로 다른 사람에
비하여더 많은 고통을 겪게 되는 경우가 많다.
평소에 가족들과의 관계를 원만하게 만들어 나간 다면 반려동물이
곁을 떠났을 때에도 가족들의 위로와 관심으로 아픔을 줄일 수 있다.
-친구들과 교류하기 : 자신과 가치관이 다르고 사고방식이다르다고
친구들과의 관계를 소홀히 하는 사람들이 있다 .
이런 사람들의 경우 친구에 대해서 자신을 맞추는것을 부담스러워
하고 힘들어 하기 때문에 친구들보다는 반려동물과의 교감을 우선
하는 경우를 보게 된다.
하지만반려동물의 수명이 사람에 비해서 많이 짧기 때문에
반려동물을 먼저 떠나 보내게 되는 데 이때 펫로스증후군의 고통이
다른 사람에 비해서 더욱 커지게된다.
평소에 친구들과의 좋은 관계를 맺어둠으로 반려동물의 사망 시에도
친구들과의 교류를 통해 아픔을덜고 위로 받을 수 있다.
-한 마리 보다는 두세 마리, 한 종류 보다는 두세종류 : 반려동물을
키울 때 사정 상 한 마리를 키우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경우 그 한
마리가 무지개다리를건너면 여러 마리를 키우고 있는 사람에
비하여 마음의 상처가 더욱 클 수 밖에 없다.
여건이 허락 한다면한 마리만 키우기 보다는 두세 마리를 같이
키우는 것을 권한다.
그리고 한 종류보다는 두세 종류를 함께키우는 것이 도움이 될 듯 싶다.
고양이를 키우고 있다면 강아지를 함께 키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종류가 달라지면 느끼는 감정 또한 달라지게 된다.
-반려인들과 교류하기 :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 주변의반려인들과
평소 교류를 통해 서로 간의 애로 사항도 의논할 수 있고 반려동물의
사망 시에도 서로 간에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공감해주고 위로해줄 수
있기 때문에 펫로스증후군을 보다 더 어렵지 않게 극복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집에서 가까운 반려인들을찾아 함께 산책하고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등 다른 반려인들 과의 유대 관계를 맺어두기 바란다.
-생명의 유한함 인정하기 : 이 땅에 온 모든 생명은언젠 가는 이 땅을
떠나게 된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내가 사랑하는 아이도 언젠 가는 내
곁을 떠나야 하는 유한한 존재임을 마음으로 깨닫고 준비하고있어야 한다.
그래야 어느 날 갑자기 내 곁을 떠난다 해도 사전에 마음에 준비하고
있기 때문에 펫로스증후군으로겪는 마음의 상처가 덜 할 수가 있게 된다.
-이별 연습하기 : 언젠 가는 우리 곁을 떠날 아이와의이별을 연습하기
위해 평소에 아이와의 이별을 연습해 두기 바란다.
처음에는 이별 연습이 힘들고 어렵겠지만조금씩 익숙해 지게된다.
차츰 차츰 시간의 간격을 늘려가면서 이별 연습을 해두면 아이가 우리
곁을 갑자기떠났을 때에도 조금은 고통이 덜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아플 때 곁에 있어주기 : 아이가 건강할 때보다는아파할 때 곁에서 지켜
준다면 아이가 어느 날 무지개다리를 건넌 후 마음 아파하는 펫로스증후군을
조금이라도 덜 겪게 될 것이다.
아이가 세상을 떠나고 난 후에 느끼게 되는 죄책감 등의 감정을 사전에
줄일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펫로스증후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펫로스 증후군 극복 이메일 무료상담 제공 카루소, 부천포커스 기사화 (1) | 2020.10.11 |
---|